음식점 건강진단 의무, 질병 제한 및 과태료
음식점 건강진단 의무, 질병 제한 그리고 과태료: 꼼꼼하게 알아보기!
음식점을 운영하시는 사장님들, 그리고 식품을 다루는 모든 종사자분들께서는 주목! 오늘은 음식점 운영에 있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건강진단 의무 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자세하게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건강진단은 단순히 법적인 의무를 준수하는 것을 넘어, 고객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사업장의 위생 수준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그럼, 함께 자세히 알아볼까요?!
건강진단, 왜 중요할까요?
식품위생법, 2028년 7월 1일 변경 예정?!
건강진단은 식품을 취급하는 종사자가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질병 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이는 식품 매개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고,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특히, 식품위생법은 2028년 7월 1일에 변경될 예정이니, 미리미리 대비하는 것이 좋겠죠?!
건강진단 대상자는 누구일까요?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화학적 합성품 또는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는 제외)을 채취·제조·가공·조리·저장·운반 또는 판매하는 일에 직접 종사하는 종업원 은 건강진단을 받아야 합니다(「식품위생법」 제40조 제1항 본문 및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49조 제1항 본문). 하지만, 다른 법령에 따라 같은 내용의 건강진단을 받는 경우에는 「식품위생법」에 따른 건강진단을 받은 것으로 봅니다(「식품위생법」 제40조 제1항 단서).
건강진단, 언제 받아야 할까요?
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는 종업원은 영업에 종사하기 전에 미리 건강진단을 받아야 합니다(「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49조 제2항).
건강진단 항목 및 횟수: 꼼꼼하게 체크!
필수 검사 항목은 무엇일까요?
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는 사람의 진단 항목 및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49조 제3항, 「식품위생 분야 종사자의 건강진단 규칙」 제2조).
대상 | 건강진단 항목 | 횟수 |
---|---|---|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화학적 합성품 또는 기구등의 살균·소독제를 제외)을 채취·제조·가공·조리·저장·운반 또는 판매하는데 직접 종사하는 사람 | 1. 장티푸스 | 1회/년 |
(다만, 영업자 또는 종업원 중 완전 포장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운반 또는 판매하는데 종사하는 사람은 제외) | 2. 파라티푸스 | |
3. 폐결핵 |
건강진단, 놓치면 과태료 폭탄?!
이를 위반하여 건강진단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가 부과됩니다(「식품위생법」 제101조 제3항제1호). 잊지 말고 꼭 건강진단을 받으세요!
질병 제한: 어떤 질병이 문제가 될까요?
영업 종사 제한, 어떤 질병이 해당될까요?
건강진단을 받은 결과 타인에게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질병이 있다고 인정된 경우에는 그 영업에 종사할 수 없습니다(「식품위생법」 제40조 제2항). 또한, 영업자는 건강진단을 받지 않거나 건강진단 결과 타인에게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자를 그 영업에 종사시키지 못합니다(「식품위생법」 제40조 제3항).
구체적인 질병 종류는?!
건강진단 결과 다음의 질병에 걸린 사람은 영업에 종사하지 못합니다(「식품위생법」 제40조 제4항 및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50조).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가목에 따른 결핵(비감염성인 경우는 제외)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33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감염병
- 피부병 또는 그 밖의 화농성(化膿性)질환
- 후천성면역결핍증(「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9조에 따라 성매개감염병에 관한 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는 영업에 종사하는 사람만 해당함)
질병 있는 종사자 고용, 과태료?!
이를 위반하여 건강진단을 받지 않거나 건강진단 결과 타인에게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질병이 있는 자를 그 영업에 종사시키는 경우에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가 부과됩니다(「식품위생법」 제101조 제3항제1호).
마무리: 건강한 음식점 운영, 함께 만들어가요!
오늘은 음식점 건강진단 의무와 질병 제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건강진단은 법적인 의무를 넘어, 고객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약속 입니다.
- 정기적인 건강진단 : 종사자들의 건강 상태를 꾸준히 확인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 위생 교육 강화 : 철저한 위생 교육을 통해 식품 안전 의식을 높여야 합니다.
- 투명한 정보 공개 : 고객에게 건강진단 결과와 위생 관리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신뢰를 구축해야 합니다.
이러한 노력들이 모여 더욱 건강하고 안전한 음식점 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사업주와 종사자 모두가 함께 노력하여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식점을 만들어 갑시다!
댓글